캠핑에서 불멍의 필수품이라 하면 캠핑 화로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처음 구매했을 때는 뽀얗고 반짝하던 것이 한 번만 사용해도 열기로 인해 그을음과 재가 범벅이 되어 버리고 맙니다. 어차피 계속 나무를 계속 태워야 하기 때문에 깨끗하게 세척하는 게 큰 의미는 없지만.. 한 번쯤은 반짝하게 돌려놓고 싶었습니다. 지금부터 캠핑화로대 세척 후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불멍 하기 딱 좋은 800도씨 화로대제가 사용하고 있는 화로대는 800도씨에서 구매한 캠핑 화로대입니다. 옆면이 매쉬로 되어 있어 장작 타는 모습을 옆면에서도 볼 수 있는 아름다운 불멍이 가능한 화로대입니다. https://800c.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225&cate_no=1&display_group=2 ..
날이 따뜻해지면서 캠핑을 자주 다니고 있습니다. 캠핑 짐을 쌀 때 저에게 가장 큰 미션은 짐의 부피를 줄이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이부자리의 부피를 줄여보기 위해 브랜든 압축파우치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압축기계가 필요 없는 브랜든 압축 파우치 브랜든을 알기전에는 청소기로 공기를 빼서 사용하는 압축팩을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자주 찢어지기도 하고 작은 틈새로 공기가 다시 들어가는 경우도 있어 튼튼한 파우치를 찾던 중 브랜든을 알게 되었습니다. S+L+XL 세개의 사이즈를 구매해 보았고 각 사이즈별 파우치의 크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4인가족 캠핑이라 침낭이 네 개 필요합니다. 겟썸레스트 자충매트를 2개 사용하고 있으며 자충매트를 감쌀 패드, 베개까지 이부자리만으로도 꽤 부피가 나가는 상황입니다. 네이처하이크의..
전세계약 전 꼭 알아야 할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안심전세 2.0 앱이 2023년 5월 31일 출시되었습니다. 지난 2월 출시되었던 안심전세 1.0 버전에서 아쉬웠던 부분을 개선하여 새로 출시한 안심전세 2.0 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세정보와 세부기능이 보강된 안심전세 2.0 앱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는 전세계약 때 필요한 정보를 세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안심전세 1.0 앱을 제공했었습니다. 초기에는 수도권 빌라 168만 호의 시세만 담겨있었는데, 전세사기 등의 문제가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제공범위를 전국으로 늘리게 되었습니다. 안심전세 2.0의 변화된 점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시세정보가 수도권 일부에서 전국 1,252만 호로 늘어났으며 오피스텔, 대형 APT 정보가 ..
제가 며칠 전부터 아이메시지로 받은 이미지 확인 안 되는 문제가 발생했었습니다. 상대가 이미지를 보내도 확인이 안 되니 참 답답하더라고요. 혹시 같은 문제를 겪는 분들을 위해 이 현상과 해결방법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아이메시지에서 전송받은 이미지 확인 불가능 현상얼마 전부터 아이메시지로 받은 이미지 확인 불가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일반 문자로 받은 이미지는 이상이 없었으나 아이메시지로 받는 경우에만 문제가 되었습니다. 위와 같이 파일명만 보이고 클릭을 해도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한 사람한테서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메시지로 받을 때는 모두 동일한 현상이었습니다. 이 현상이 무엇인지 검색을 해봐도 안 나오더라고요.. 해결 방법을 몰라 며칠을 그냥 보냈는데 주로 연락하는 지인들이 거의 아이폰이라..
아기 키우는 집이라면 하나쯤을 있을 만한 것이 매직캔 휴지통일 것입니다. 원터치 오픈이 가능하면서 냄새차단에 효과적이라 오랫동안 사랑을 받고 있는 휴지통입니다. 이 매직캔을 처분할 때 플라스틱 재활용으로 버리기에는 약간의 부속품을 분해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지금부터 분해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매직캔 휴지통 분해하기 매직캔을 분해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플라스틱이 아닌 부분만 분리한 후 재활용으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먼저 발판을 분리해 보겠습니다. 발판을 잡은 뒤 힘을 주고 힘껏 당기면 발판이 빠집니다. 발판은 옆에 놔두고 휴지통을 뒤집어 고정핀을 뺀 후 뎀퍼 부분을 분리하면 됩니다. 안전칼날 부분도 분리해주셔야 합니다. 날카로운 부분을 조심해서 위로 올려주면 쉽게 분리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발..
길고 길었던 코로나19가 드디어 끝을 보이고 있습니다. 6월 1일부로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이 경계 단계로 내려가게 되었습니다. 3년 동안 코로나19가 어떻게 진행되었고 경계 단계가 되면 방역 방침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0년 첫 확진자부터 격리의무 해제까지.. 2020년이 시작되었다는 설렘이 가시기도 전인 1월 3일.. 질병관리본부에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하고 있는 ‘우한시 원인불명 폐렴 대책반’이 가동됩니다. 이에 따라 검역, 격리, 역학조사가 시작되게 됩니다. 1월 20일.. 국내에 첫 확진자가 발생합니다. 이에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이 ‘주의’ 단계로 상향됩니다. 감염병 재난 위기 수준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것 같습니다. 1월 27일은 국내에 확진자가 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