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오고 날씨가 건조해지면서 산림청에서는 산불재난 국가위기 경보를 주의로 발령하였습니다. 이러한 위기경보는 상황의 심각성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국가위기경보는 크게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나뉩니다. 각 단계는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위기경보의 종류와 단계별 기준을 소개하고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국가위기경보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자연재난 위기경보 단계
자연재난 위기경보는 주로 기상 상황에 따라 발령됩니다. 크게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4단계로 나뉩니다.
관심
자연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로서는 큰 영향이 없는 상태입니다.
주의
자연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일부 지역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상태입니다.
경계
자연재난이 발생하였거나 임박한 상태로, 상당한 영향이 예상됩니다.
심각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광범위하게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태입니다.
사회재난 위기경보 단계
사회재난 위기경보는 테러, 대규모 감염병 발생 등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상황에 발령됩니다. 이 역시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4단계로 구분됩니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주요 위기경보
최근 1년 동안 한국에서 발생한 주요 위기경보 사례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폭염 및 호우: 2023년 8월, 한반도에서는 기록적인 폭염과 극한 호우가 동시에 발생하며 폭염경보와 호우특보가 발효되었습니다.
- 한파 및 폭설: 2022-2023년 겨울, 한반도는 한파와 폭설로 인해 제주 항공기 결항과 눈길 고립 사고가 잇따랐습니다.
- 코로나19: 2023년 5월,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경보가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되었으며, 확진자 격리 의무가 완화되었습니다.
- 사이버 위협: 2022년 3월,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사이버전 확산과 국내 기업 대상 랜섬웨어 사고 발생 등으로 인해 사이버 위기경보가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되었습니다.
위기경보 단계는 정부가 재난이나 위기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지침입니다. 국민들은 이러한 단계별 경보에 주목해 적절한 대비를 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특히, '경계'와 '심각' 단계에서는 정부의 지시와 안내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