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전기차 구입 보조금 변화 내용과 신청방법 총 정리

전기차 구입을 생각하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전기차 보조금을 반드시 알아보셔야 할 것입니다. 2023년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이 새로 발표되었습니다. 작년에 비해 어떠한 점이 달라졌으며 전기차 구입 보조금은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023년 전기차 구입 보조금 변화 주요 내용

2022년에는 5,500만원 미만의 대, 중형 전기차에 대해 보조금은 전액 지급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배터리 가격이 인상되고, 이로 인해 차량 가격 상승 압박이 심화됨에 따라 보조금 전액이 지급 되는 기본 가격 기준을 5,500만 원에서 5,700만 원으로 상향조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 100% 지원: 5,700만 원 미만
  • 50% 지원: 5,700만원 ~ 8,500만 원
  • 미지원: 8,500만 원 초과

중대형 전기차의 성능 보조금 단가를 100만 원 감액하여 600만 원에서 500만 원으로 조정되었고, 이를 통해 보조금 지원 가능 물량이 전년 대비 31% 증가하여 16만 대에서 21.5만대로 책정되었습니다. 

소형, 경형 전기차의 성능 보조금이 400만 원으로 신설되었는데, 초소형 전기차는 상한으로 350만 원으로 정하였습니다. 다만 저소득층, 소상공인은 보조금 산정 금액의 10%를 추가 지원합니다. 초소형 전기차는 20% 지원됩니다. 

 

기본 가격 기준 이외에도 전기차 성능과 제조사의 기업활동에 따라 인센티브, 성능평가, 취약계층, 사후관리 평가에 대한 차등 평가 방식이 적용됩니다. 

성능평가 분야에서는 1회 충전 주행거리가 150km 미만인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은 약 20% 감액되고, 450km 이상의 경우 100%를 지원합니다. 2022년 대비 변화된 점은 기존에는 400km 이상인 경우에 100%를 지원했었습니다. 

 

2023년에는 사후관리 역량 평가분야가 신설되었습니다. 직영 정비센터 운영 및 정비 이력 전산 관리 여부 등 제작사 사후관리 여부를 평가하고, 이에 따라 성능 보조금을 최대 20% 차등하여 지급하기로 하였습니다. 

 

마지막 인센티브 분야는 제작사의 저공해차 보급, 충전기반 확충, 혁신기술 개발 및 채택을 촉진하기 위한 각종 인센티브를 지급하기로 하였는데요. 보급목표 이행 보조금을 70만 원에서 140만 원으로 인상하였습니다. 대상기업으로는 현대, 기아, 쌍용, 르노, 한국 GM, 벤츠, BMW, 폭스바겐, 도요타, 혼다가 해당됩니다. 

또한 전기차 활용도 상승 및 부가가치가 놓은 혁신기술을 적용한 차량에는 혁신기술 보조금 20만 원을 지원하는데, 23년에는 전기차를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화하는 V2L 기능을 탑재한 차량에 지원하기로 하였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2023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2023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개편된 보조금 안을 살펴보면 현대, 기아 전기차의 V2L 기능을 탑재하고 주행거리가 450km 이상인 전기차에 대해 가장 많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차 보조금 신청하는 방법은?

전기차 보조금을 신청하는 방법은 아래의 절차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 자동차 대리점에서 자동차 계약
  • 대리점에서 지자체에 구매 신청서 제출
  • 지자체에서 보조금 대상자 선정
  • 구매자는 출고된 차량을 등록 후 보조금을 제외한 금액 지불
  • 대리점에서 전기차 보조금을 지자체에 신청하고 구매자에게 지급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
전기차 보조금 신청절차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 시스템에 접속을 하면 보조금 관련하여 각 지자체별로 문의처를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ev.or.kr)